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건물, 불상, 범종, 탱화, 전적 등 다양한 종류로, 인천광역시가 지정한 문화재를 의미한다. 관아 건축, 종교 건축, 근대 건축, 불교 문화재 등으로 분류되며, 인천도호부관아, 인천향교, 구 제물포구락부, 전등사 관련 문화재 등이 포함된다. 일부 문화재는 보물 또는 사적으로 승격되어 지정 해제되기도 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- 인천광역시의 기념물
인천광역시의 기념물은 문학산성, 화도진 터, 김재로 묘 등 다양한 유형의 유적과 유물을 포함하며,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,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. -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 - 인천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
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는 1983년부터 2019년까지 총 29점이 지정되었으며, 조선시대 건축물, 유물, 불교 문화재 등을 포함하여 각 시대별 역사적 가치를 보여준다. - 대한민국의 시도유형문화유산 -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
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건축물, 서적, 회화, 조각, 공예품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며, 동래부 동헌, 충렬사, 범어사 대웅전, 장안사 대웅전 등이 주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. - 대한민국의 시도유형문화유산 -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
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는 충청북도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지정 번호순으로 목록화한 것으로, 시대, 종류, 지역별로 분류되며, 경종대왕태실, 순조대왕태실,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, 금남루, 가학루, 오층석탑, 마애불 등을 포함한다.
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| |
---|---|
개요 | |
명칭 |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|
지정 종류 | 유형문화재 |
지정 번호 | 인천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(각 문화재별 지정 번호는 개별 항목 참조) |
지정 대상 | 인천광역시 내의 유형 문화재 |
관리 주체 | 인천광역시 (각 문화재별 관리 주체는 개별 항목 참조) |
상세 내용 | |
정의 | 인천광역시 내에 있는 유형의 문화재로서, 역사적, 예술적, 학술적 가치가 큰 것. |
지정 기준 | 형태, 제작 기법, 역사적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문화재로서의 보존 가치 및 활용 가능성 |
지정 절차 | 문화재 지정 신청 접수 문화재위원회 심의 문화재 지정 및 고시 |
관리 및 보호 |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관리 및 보호 필요시 보수 및 정비 지원 문화재 주변 환경 보호 |
활용 | 학술 연구 자료 제공 문화 교육 자료 활용 관광 자원 활용 |
참고 사항 | |
목록 |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목록은 별도 항목 참조 |
2. 지정 현황
인천광역시에는 총 77점의 유형문화재가 지정되어 있으며, 1982년 3월 2일 처음 지정된 이후 꾸준히 추가되고 있다.
2. 1. 종류별 현황
종류 | 건수 | 비율(%) |
---|---|---|
건축물 | 33 | 49.3 |
불상 | 7 | 10.4 |
탱화 | 7 | 10.4 |
범종 | 3 | 4.5 |
석비 | 2 | 3.0 |
돈대 | 3 | 4.5 |
향교 | 3 | 4.5 |
고문서·경전 | 9 | 13.4 |
기타 | 3 | 4.5 |
합계 | 67 | 100 |
- 건축물은 인천도호부관아(1호), 부평도호부관아(2호), 구)인천일본제일은행지점(7호), 인천중동우체국(8호), 인천향교(11호), 부평향교(12호), 용궁사(15호), 창영초등학교 구 교사(16호), 구 제물포구락부(17호),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(18호), 구인천일본58은행인천지점(19호), 용흥궁(20호), 충렬사(21호), 연미정(24호), 강화유수부 동헌(25호), 강화유수부 이방청(26호), 보문사석실(27호), 교동향교(28호), 강화석수문(30호), 강화향교(34호), 영화초등학교본관동(39호), 팔미도등대(40호), 강화온수리성공회사제관(41호), 홍예문(49호), 구인천일본18은행지점(50호), 성공회 내동성당(51호), 성공회 온수리성당(52호), 강화 고대섭 가옥(60호) 등 33건이다.
- 불교 관련 유물로는 불상 7건(관음좌상(5호), 건칠여래좌상(13호), 목조보살좌상(14호), 보문사마애석불좌상(29호), 전등사약사전석불좌상(57호), 목조아미타여래좌상(68호), 목조보살좌상(69호)), 탱화 7건(전등사약사전현왕탱(43호), 전등사약사전후불탱(44호), 청련사 큰법당 삼장탱(53호), 청련사큰법당현왕탱(54호), 청련사원통암감로왕탱(55호), 능인교당 신중탱화(61호), 백련정사 칠성도(62호), 시왕도(67호), 용궁사 수월관음도(76호)), 범종 3건(원대철제범종(3호), 송대철제범종(4호), 명대철제도종(77호))이 있다.
- 석비는 심즙 신도비(32호), 적석사사적비(38호) 2건, 돈대는 후애돈대(33호), 삼암돈대(35호), 분오리돈대(36호) 3건, 향교는 인천향교(11호), 부평향교(12호), 교동향교(28호) 3건이다.
- 고문서·경전은 정우량영정(9호), 연수구흥륜사소장대장일람집(58호), 연수구흥륜사소장자치통감강목(59호), 신간소문입식운기론오(63호), 효경(64호), 증주당현절구삼체시법 권1(65호), 선문염송설화 권1-30(70호), 묘법연화경 권3(71호),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21(72호),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1(73호), 몽산화상육도보설(74호),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(75호) 등 9건이다.
3. 주요 유형문화재
(단체)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